본문 바로가기
인포

태풍 '카눈' 정보 알리기, 태풍 연혁

by 돌돌스 2023. 8. 9.

태풍 카눈을 검색해보니 카눈은 6호였다.

아마 2023년의 6호 태풍인것 같다.

 

- 제1호 태풍 상우(SANVU)는 마카오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산호를 의미함. (4.20.~4.23.)

 

- 제2호 태풍 마와르(MAWAR)는 말레이시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장미를 의미함.(5.20.~6.03.)

 

- 제3호 태풍 구촐(GUCHOL)은 미크로네시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향신료를 의미함. (6.06.~6.13.)

 

- 제4호 태풍 탈림(TALIM)은 필리핀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가장자리를 의미함. (7.15.~7.18.)

 

- 제5호 태풍 독수리(DOKSURI)는 한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독수리를 의미함. (7.21.~7.29.)

 

- 제6호 태풍 카눈(KHANUN)은 태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열대과일의 한 종류. (7.28.~8.12.)

 

- 제7호 태풍 란(LAN)은 미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마셜군도원주민어)스톰을 의미함. (8.08.~8.14.)

 

지금 한국에 오고 있는 태풍은 '카눈'이고 우리나라에는 최고 600mm가 올 예정이라고 한다.

중심기압은 970hPa(헥토파스칼), 최대풍속은 초속 30m다. 

 

일본 기상청에 따르면

태풍 6호는 일본 서남부 규슈의 가고시마현과 구마모토현을 폭풍 영역에 끌어들이면서 북상하고 있다.

태풍의 속도가 느리고 규슈 남동부 미야자키현에서는 강우량이 많게는 700㎜를 넘는 등

평년의 8월 한 달치를 웃도는 기록적인 폭우가 내리고 있다고 현지 공영 NHK가 9일 보도했다.

 

이 태풍은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비슷한 곳에 강한 비구름이 계속 끼어

미야자키현에는 9일 오전 8시까지 강우량이 미사토정(町) 남부 730㎜, 에비노 고원 556㎜를 기록하는 등

곳에 따라 평년의 8월 한 달치를 웃도는 기록적인 폭우가 내리고 있다.

 

9일 보도된 YTN 뉴스에 따르면

내일부터 모레까지 영동 지방에는 최고 600mm, 영남에도 최고 400mm의 물 폭탄이 쏟아지겠고

그 밖의 서울을 비롯한 내륙에도 최고 200mm의 큰비가 예상된다.

바람도 영남 해안에 초속 40m로 가장 강하겠고,

영동과 영남 내륙, 제주도에도 초속 25~35m의 폭풍급 바람이 불겠다.

그 밖의 내륙에도 최고 25~30m의 강한 바람이 예상돼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

 

라고 뉴스/기상청/심지어 문자에서도..

다들 태풍의 피해를 대비하려고 소통을 취하고 있다.

 

 

===============================================================

 

※ 태풍 발생 시 행동 상세 요령

 

1. 태풍의 진로 및 도달 시간을 파악해서 어떻게 대피할지를 생각합니다.

TV, 라디오, 인터넷, 스마트폰 등으로 기상상황을 미리 파악하여 어떻게 할지를 준비합니다.

∙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안전디딤돌)을 통해 재난정보를 파악하여 주변 사람들과 공유합니다.

 

2. 산간·계곡, 하천, 방파제 등 위험지역에서는 주변에 있는 사람들과 함께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니다.

산간·계곡, 하천, 방파제 등에서 야영이나 물놀이를 멈추고 주변에 있는 사람들에게 알려 함께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니다.

∙ 저지대나 상습 침수지역, 산사태 위험지역, 지하 공간이나 붕괴 우려가 있는 노후주택·건물 등에서는

주변에 있는 사람들에게 알려주고

 

3. 주택이나 차량, 시설물 등의 보호를 위해 가족이나 지역주민과 함께 준비합니다.

∙ 바람에 날아갈 위험이 있는 지붕, 간판 등은 미리 결박하고, 창문은 창틀에 단단하게 테이프 등으로 고정합니다.
∙ 하천이나 해변, 저지대에 주차된 차량은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니다.
∙ 가족과 함께 가정의 하수구나 집 주변의 배수구를 미리 점검하고 막힌 곳은 뚫습니다.
∙ 침수가 예상되는 아파트 지하주차장, 건물 등은 모래주머니, 물막이 판 등을 이용하여

침수를 예방할 수 있도록 준비합니다.
∙ 시설하우스 등 농업 시설물은 버팀목이나 비닐 끈 등으로 단단히 묶고, 농경지는 배수로를 정비하여 피해를 예방합니다.
∙ 선박이나 어망·어구 등은 미리 결박하여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합니다.
∙ 지역 주민과 함께 공사장, 축대, 옹벽 등을 미리 점검합니다.

 

4. 가족과 함께 비상용품을 준비하여 재난에 대비합니다.

∙ 비상시 신속한 대피를 위해 응급용품은 미리 배낭 등에 넣어둡니다.
∙ 상수도 공급이 중단될 수 있으므로 욕실 등에 미리 물을 받아둡니다.
∙ 정전에 대비하여 비상용 랜턴, 양초, 배터리 등을 미리 준비해 둡니다.
∙ 긴급 상황에 따른 정보 수신을 위해 스마트폰에 안전디딤돌 앱을 설치하고,

가까운 행정복지센터(주민센터) 등의 연락처를 확인합니다.

 

5. 외출은 자제하고 연세 많은 어르신 등은 수시로 안부를 확인합니다.

∙ 약속된 일정은 취소하거나 조정하여 외출을 자제하고, 주변에 정보를 알려 줍니다.
∙ 연세 많은 어르신, 어린이, 장애인 등은 외출을 하지 않도록 당부하고 수시로 전화 등을 통해 안부를 확인합니다.

 

===============================================================

 

국민행동요령_태풍

- 자주 물에 잠기는 지역, 산사태 위험지역 등의 위험한 곳은 피하고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니다.

- 실내에서는 문과 창문을 닫고, 외출을 하지 않고 TV, 라디오, 인터넷 등을 통해 기상상황을 확인합니다.

- 개울가, 하천변, 해안가 등 침수 위험지역은 급류에 휩쓸릴 수 있으니 가까이 가지 않습니다.

- 산과 계곡의 등산객은 계곡이나 비탈면 가까이 가지 않고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니다.

- 공사자재가 넘어질 수 있으니 공사장 근처에 가까이 가지 않습니다.

- 농촌에서는 논둑이나 물꼬의 점검을 위해 나가지 않습니다.

 

 

아무튼 별 피해 없이 지나가기를..!!